본문으로 바로가기

반응형

생활밀착정보저장소의 한국사 요약정리

 

Ⅰ. 한국사의 이해

 

(1) 역사의 분류 

㉠ 사실로서의 역사 = 역(歷), 겪다, 지나다.

  - 과거~현재 일어난 모든 사건 = 객관적 사실

  - 역사는 과거 사건들의 집합체

  - 랑케(Ranke) `자신을 숨기고 역사적 사실들로 하여금 이야기하게 해야 한다`

  - 실증주의 사관

 

㉡ 기록으로서의 역사 = 사(史), 기록하다.

  - 과거의 사실, 역사가가 조사,연구한 결과를 재구성 = 주관적 사실

  - 역사가의 가치관과 주관적 요소 포함하여 평가

  - E.H.카(E.H.Carr) `역사란 현재와 과거 사이의 끊임없는 대화`

  - 콜링우드(R.G.Collingwood) `모든 역사는 사상의 역사이며 역사란 과거 행위자의 사상을 재사고하여 상상적으로 재연하는 것`

  - 상대주의 사관

 

(2) 사료와 사료 비판

㉠ 사료 

  - 사료란 : 과거가 남긴 흔적(유적, 유물)

  - 1차 사료 : 역사적 사실이 일어날 때 만들어진 자료

  - 2차 사료 :       〃          일어난 후 만들어진 자료

 

㉡ 역사 연구 방법

  - 사료학 : 사료의 수집과 정리 및 분류

  - 사료 비판

     ⓐ 외적 비판 : 사료의 진위 구별

     ⓑ 내적 비판 : 사료의 신뢰성 판단

  - 동시대의 사료라해도 기록자의 주관, 상황에 따라 다르게 구성 가능(사료의 활용은 사료비판의 전제가 필요)

 


 

(3) 한국의 보편성과 특수성

  - 보편성 : 인간의 고유한 생활 (종교, 자유, 평등 등)

  - 특수성

    ⓐ 자연환경 : 풍속, 언어, 예술, 사회제도 등

    ⓑ 한국사의 특수성 : 효(孝), 호국불교, 공동체조직(두레, 계, 향도 등)

 

기출문제 ] 2014 사회복지 9급

 

한국사의 올바른 이해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조선이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하였던 것은 분권적인 봉건제도가 없었기 때문이다. 

2. 한국사는 한국인의 주체적인 역사이며 사회구성원들의 총체적인 삶의 역사이다. 

3. 한국사의 보편성과 특수성의 문제는 세계사 안에서 한국사를 올바르게 보는 관점을 제공한다. 

4. 다양한 기준에 의거해 시대구분을 하더라도 한국사의 발전 양상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 1. 일제의 식민사관 중 `정체성론`

 

 

(4) 세계유산

대한민국 유네스코 세계유산

  - 문화유산 : 석굴암과 불국사(1995),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1995), 종묘(1995), 창덕궁(1997), 수원화성(1997), 경주역사유적지구(2000), 고인돌유적(2000,고창,화순,강화), 고구려 고분군(2004, 북한-평양,남포,안악), 조선왕릉(2009), 한국의 역사마을 하회와 양동(2010), 개성역사유적지구(2013, 북한), 남한산성(2014), 백제역사유적지구(2015),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2018), 한국의 서원 9곳(2019, 소수, 남계, 옥산, 도산, 필암, 도동, 병산, 무성, 동암서원)

  - 자연유산 : 제주특별자치도 화산섬과 용암동굴(2007)

 

㉡ 대한민국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 훈민정음 해례본(1997), 조선왕조실록(1997), 직지심체요절(2001, 프랑스 국립도서관 소장), 승정원일기(2001), 팔만대장경(2007), 조선왕실의궤(2007), 동의보감(2009), 5.18광주민주화운동기록물(2011), 일성록(2011), 난중일기(2013), 새마을운동 기록물(2013), KBS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기록물(2015), 한국의 유교책판(2015), 조선통신사 기록물(2017, 일본공동), 조선왕실의 어보와 어책(2017), 국채보상운동 기록물(2017) 

  * 한국의 편액(2016), 만인의 청원, 만인소(2018), 조선왕조 궁중 현판(2018), 무예도보통지(2017, 북한)

 

㉢ 대한민국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2001), 판소리(2003), 강릉단오제(2005), 남사당놀이(2009), 강강술래(2009), 처용무(2009), 영산재(2009), 제주칠머리당영등굿(2009), 가곡(2010), 대목장(2010), 매사냥(2010, 12개국 동시등재), 택견(2011), 줄타기(2011), 한산모시짜기(2011), 아리랑(2012, 북한 : 평양, 평안도, 황해도, 강원도, 함경도, 자강도), 김장, 한국의 김치를 담그고 나누는 문화(2013, 북한), 농악(2014), 줄다리기(2015, 4개국 동시등재), 제주해녀문화(2016), 씨름, 한국의 전통 레슬링(2018, 남북한 동시 등재)

  

기출문제 ]  2015 서울시 9급

 

다음 중 유네스코에 등재된 우리나라의 세계기록유산이 아닌 것은?

1. 난중일기 

2. 일성록

3. 동의보감

4. 비변사등록

더보기

▶ 4. 비변사 등록

난중일기(2013, 이순신, 임진왜란),  일성록(2011, 영조, 국정전반), 동의보감(2009, 허준, 한의학 백과사전)

 

기출문제 ] 2018 국가직 7급

 

다음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백제역사유적지구 문화유산 중 부여군에 속한 것만을 모두 고르면? 

ㄱ. 정림사지

ㄴ. 공산성

ㄷ. 부소산성과 관북리유적

ㄹ. 송산리 고분군

더보기

▶ ㄱ, ㄷ (정림사지, 부소산성과 관북리유적)

부여 정림사지 - 사비 시대의 절터, 정림사지 5층석탑은 미륵사지 석탑의 목탑 양식 계승, 평제탑(당나라 소정방이 백제평정 후 새김)으로도 불린다. 

공산성 - 웅진 시대의 백제의 왕성. 토성이었으나 석성으로 개축

부소산성 - 사비 시대의 왕궁의 배후산성, 평상시에는 왕궁의 후원, 위급상황시 방어시설, 낙화암, 고란사 존재

관북리 유적 - 사비 시대의 왕궁터로 추정

송산리 고분군 - 웅진 시대 왕과 왕족들의 무덤, 벽돌무덤(무령왕릉), 굴식 돌방무덤 존재

 

*작성일 기준 최신정보로 작성하나, 변경된 정보나 오류에 대한 책임은 사용 당사자에게 있습니다.

*오류 사항은 댓글을 남겨주세요.

 

 

 

*이미지 및 자료 출처 : 국사편찬위원회, 공무원,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출문제, EBS 최태성 고급한국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