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위 직급 직책 정의 / 순서 및 체계
직위(職:직분 직, 位:자리 위)
- 직무에 따라 규정되는 사회적, 행정적 위치. '위치'의 개념
ex)직위가 높다/직위가 낮다
직급(職:직분 직, 級:등급 급).
- 직책이나 직업 상에서 책임을 지고 담당하여 맡은 사무의 등급.
높고 낮음의 차이를 여러 층으로 구분한 단계를 뜻하는 '등급(等級)'의 개념을 포함(≒계급)
ex) 9급 3호봉, 과장 2호봉
직책(職:직분 직, 責:꾸짖을 책)
- 직무상의 책임(=보직). 권한. 담당하는 임무.'책임'의 개념
ex)자기의 직책을 다하다/직책을 성실히 수행하다
*직렬(職列.직무의 종류가 유사하고 책임과 어려움의 정도가 다른 직급의 계열)
ex)
정보팀 팀장(직책)인 생밀정 과장(직위)은 4호봉(직급)이다.
*회사 규모 또는 내부 규칙, 사기업, 공기업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국가 별로 차이가 있습니다.
직급/직위 순서
회장
▼
부회장
▼
사장(or 대표이사)
▼
부사장
▼
전무(전무이사)
▼
상무(상무이사)
▼
이사(상무보)
▼
사외 이사
▼
고문
▼
감사
▼
(본부장 : 대부분 직책으로 사용)
▼
(실장/처장/국장 : 대부분 직책으로 사용)
▼
(팀장 : 대부분 직책으로 사용. 부장보다 낮은 차장의 직급일 수 있음)
▼
부장(or 실장)
▼
차장(or 부장대리)
▼
과장
▼
계장
▼
대리
▼
주임
▼
사원
▼
인턴
공무원직급(일반)
*국가공무원법 제5조
"직급(職級)"이란 직무의 종류, 곤란성과 책임도가 상당히 유사한 직위의 군을 말한다.
9급(서기보) > 8급(서기) > 7급(주사보) > 6급(주사) > 5급(사무관) > 4급(서기관) > 3급(부이사관) > 2급(이사관) > 1급(관리관)
*중앙부처 직책
4~9급 담당
3~4급 과장
2~3급 국장
1급 실장
예]
금융위원회 산하 공공기관(공기업)
예금보험공사-보험관리실-생명보험팀
실장(보험관리실 총괄)
▼
팀장(생명보험팀 총괄)
▼
차장
▼
책임역
▼
선임조사역
▼
조사역
금융위원회 산하 공공기관(공기업)
예금보험공사-저축은행관리부-경영분석팀
부장(저축은행관리부 총괄)
▼
팀장(경영분석팀 총괄)
▼
차장
▼
선임조사역
▼
조사역, 책임검사역
생밀정ⓒLIFEEXO
reference kdic.or.kr 표준국어대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