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란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정류장까지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만큼 마일리지를 모바일 앱을 통해 적립해주고, 발급받은 카드사의 추가할인 혜택을 포함하여 대중교통비를 최대 30프로 절감할 수 있는 교통카드 입니다.
📣마일리지 적립 방식
출발-승차 구간
1. 승차와 승차시간 정보를 카드사와 연계하여 제공 받습니다.
2. 출발-승차 시간 동안 GPS등을 활용하여 이동거리를 측정합니다.
3. 측정한 이동거리에 금액을 적용하여 마일리지를 계산 합니다.
(250~450원/800m)
하차-도착 구간
1. 하차 및 승하차시간 정보를 카드사와 연계하여 제공받습니다.
2. 하차-도착 시간동안 GPS등을 활용하여 이동거리를 측정합니다.
3. 측정한 이동거리에 금액을 적용하여 마일리지를 계산합니다.
(250~450원/800m)
*하차 태그를 하지 않을 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이외에는 마일리지 적립이 되지 않습니다.
📣마일리지 적립
신용, 체크카드 발급(하나카드, 우리카드, 신하카드 택일)후 일정횟수(15회)이상 사용 시 마일리지가 적립됩니다.
- 사업대상 지역 거주민이 아닐 경우 마일리지는 미지원됩니다. (사업대상 지역은 게시글 하단에 정리되어 있음)
- 광역알뜰교통카드만 사용하고 마일리지 앱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마일리지가 지급되지 않습니다.
- 사업지역에 포함되지 않아도 사용은 전국에서 가능합니다.
- 삼성페이 등 모바일(스마트폰)페이 등록 시 마일리지는 적립이 불가합니다.
예시)
생밀정은 집에서 버스정류장까지 약 600m다 > 187.5 ~ 337.5원 마일리지 적립
하차 정류장에서 회사까지 약 200m다 > 62.5 ~ 112.5월 마일리지 적립
출근 시 총 250~450원 절약 가능
회당 마일리지 적립액은 보행, 자전거 800m이동시 월 상한 44회이며, 교통요금 지출액2천원 이하는 250원, 2천원~3천원은 350원, 3천원 초과시 마일리지 지급액은 450원입니다.
- 800m미만은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지급하고,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시 지급(미세먼지 저감조치 발령시 두배 지급)
💡저소득층 청년 마일리지 상향지원
- 저소득 청년 지원 대상자는 관할 주민센터에서 발급받은 증빙서류를 `광역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홈페이지` 해당 이메일로 제출해야 합니다.
- 상향마일리지는 증빙서류 접수 확인일 기준으로 반영되며, 카드사 요금 청구시 추가 할인되어 청구됩니다. (1회 교통비 2천원 이하 350원, 2천원~3천원 사이는 500원, 3천원 초과시 650원의 마일리지가 적립됩니다. 800m기준)
광역알뜰교통카드 앱 다운로드 - 구글 플레이스토어
광역알뜰교통카드 앱 다운로드 -애플 앱스토어
📣광역알뜰교통카드 앱 신청하기 및 할인혜택
신청할 수 있는 카드는 신한카드, 우리카드, 하나카드이며, 각 카드사의 혜택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신한카드
2. 우리카드
3. 하나카드
💡CGV 영화 예매 할인 이벤트
CGV 극장에서 광역알뜰교통카드를 이용하여 예매 결제 시 2,000원 추가 할인(앱에서 할인 쿠폰 다운로드, 월 최대 2회가능- 온라인/오프라인)
- 진행 극장: 전국 CGV ※ CGV 인제, CGV 주안역 제외
- 제공 혜택: 1인 2천원 할인 ※ 주중, 주말 동일 / 동반 1인까지 적용 가능
*할인이벤트는 2020-06-01 ~ 2021-05-31 (1년간)이었으나, 새로운 공지에 7월 31일까지로 되어있음. 이벤트기간은 광역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홈페이지 확인
💡카드신청 페이지 및 혜택 상세안내 자세히보기
💡광역알뜰카드 마일리지 지원 사업 지원 대상 지역(20.70.17기준)
*광역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지원 사업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사업비를 50:50 부담
*해당지역은 수시로 업데이트 됨
서울특별시 (25) - 서울특별시 전역
부산광역시 (16) - 부산광역시 전역
대구광역시 (8) - 대구광역시 전역
인천광역시 (10) - 인천광역시 전역
광주광역시 (5) - 광주광역시 전역
대전광역시 (5) - 대전광역시 전역
울산광역시 (5) - 울산광역시 전역
세종특별자치시(1) - 세종특별자치시 전역
경기도 (31) - 경기도 전역
충청북도 (2) - 청주, 옥천
충청남도 (2) - 천안, 아산
전라북도 (5) - 전주, 완주, 익산, 남원, 군산
경상북도 (3) - 포항, 경주, 영주
경상남도 (10) - 창원, 거제, 김해, 밀양, 산청, 진주, 창녕, 양산, 통영, 고성
*본게시글은 카드 추천 글이 아니며, 광역알뜰교통카드 신청 및 이용에 관한 정리글입니다.
ⓒLIFEEXO
reference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