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밀착경제정보
by.생활밀착정보저장소
¶ 소상공인 정책자금지원대상확인서 발급방법/필요서류 별 정리/단계별정리
코로나19는 지난 2월부터 지금까지도 소상공인과 주변상권, 지역시장들, 기업들에 많은 피해를 주고 있습니다.
이에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발생에 따른 국내소비 위축 등으로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에게 경영안정을 위한 자금지원을 한다`고 밝혔는데요.
일명 코로나대출로 불리고있습니다.
현재까지도 많은 분들이 새벽같이 줄을 서서 번호표까지 받으며, 소상공인대상 정책자금 지원대상 확인서를 발급 받기위해 많은 시간을 소비하고 있습니다.
자금지원절차 간소화를 위해 3월 25일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관련 소상공인에 대해 긴급경영안전자금(직접지원)을 접수받고 있지만(관련기사), `확인서를 신청을 하러 갔는데, 서류를 빼먹었다`, `번호표를 받고 다시 서류를 가지러 갔다`, `내일 다시 와야 한다` 등의 경험담과 의견이 늘어가고 있습니다.
많은 자영업자분들이 가게를 접어두고 많은 시간을 소비해야하기에, 최대한 자세히 자금지원신청에 필요한서류를 정리해보았습니다.
일주일정도 자료조사후 6시간 정도 작성했다가.... 전부 지우고 다시 작성합니다. 초심을 잃고, 너무 어렵게 설명했었네요.
부가가치세, 간이과세자link를 설명한것처럼, 부모님께 설명한다 생각하고 정말 쉽게 설명해보겠습니다.
정책자금 지원대상 확인서는 온라인발급도 할 수 있기 때문에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소상공인정책자금 온라인사이트로 방문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온라인발급을 잠시 정지한다는 공지가 떴네요.
(직접방문이 속편하긴 합니다. 전국 소상공인진흥공단 지역센터가 많이 있습니다. 62곳.)
¶ 경영애로자금신청 지원절차
4월 1일부터 절차가 변경되었습니다.
일단 정책자금지원대상확인서 발급에 필요한 서류를 설명하기 전 애로자금지원절차를 3단계로 아주 간단하게 설명해보면,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으로 가서 지원대상확인서 발급이 첫번째단계,
지역신용보증재단을 방문해 신용보증서 발급이 두번째단계(신용,부동산담보는 금융기관에서 바로가능),
전국 시중은행방문 후 자금지원상담 및 신청으로 모든 단계가 끝이 납니다.
* 취급금융기관[‘20. 3. 4(수)기준] : 하나은행, 우리은행, 경남은행, 전북은행, 신한은행, 부산은행, 농협은행, 한국스탠다드차타드, 산림조합중앙회, 국민은행, 광주은행, 대구은행, 한국씨티은행, 기업은행, 제주은행, 수협은행, 새마을금고, 신협중앙회(18개 금융기관)
조사한 모든 정보를 정리하여, 간략하게 3단계로 설명 해 보았는데요.
이 설명도 어렵다면, 중소기업통합콜센터로 전화상담을 해보시길 추천합니다.
국번 없이 1357(중소기업통합콜센터). 평일 9시~ 18시
¶ 확인서발급에 필요한서류 별 발급방법
필수로 필요한 서류는 신분확인증, 사업자등록증(or 사업자등록증명), 상시근로자 확인가능 서류, 매출액 확인서류, 매출 10% 감소 관련 확인서류 입니다.
[업종별 연매출액 확인서류는 하나의 기업이 상시근로자 수 기준이 다른 2개 이상의 사업을 영위하는 경우필요]
사업자등록증, 부가가치세과세표준증명,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는 국세청 홈텍스(온라인)나, 주민센터 무인민원발급기에서 무료로 발급이 가능합니다.
(면세의 경우는 면세사업자수입금액증명원 발급필요-무인발급가능)
민원24(온라인)로도 발급가능하나, 공인인증서라는 귀찮은녀석이 필요하기에, 역시 부모님세대에게 추천드리는 방법은 주민센터방문입니다.
(주민센터는 주5일로, 토,일요일 공휴일은 휴무입니다)
소상공인센터에 정책자금 지원대상 확인서를 신청하기 위해 가장 어려운(?)단계는 상시근로자가 있을 때 발급받아야할 서류들인데 건강보험 사업장가입자별부과현황, 개인별 건강보험 고지산출내역, 월별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 중 1개를 택하여 제출해야 합니다. (무인발급이 되면 좋을텐데 말이죠...)
일단 저는 건강보험 사업장 가입자별 부과현황(내역)을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어렵다고 말했지만, 귀찮은거지 어려운건 아닙니다.
물론 국민건강보험 사회보험통합징수포털(https://si4n.nhis.or.kr/)에서 온라인 발급이 가능하지만, 역시나... 부모님들에겐 복잡합니다. (그놈의 공인인증서...)
가장 쉬운 방법은 건강보험공단(1577-1000)으로 전화하여 팩스(FAX)로 발급받는 것입니다.
팩스로 받을만한 곳이 없다면, 주 거래은행이나, 주민센터에 부탁하면 대부분 대신 받아줄것입니다.
팩스받을만한 곳의 팩스번호를 미리 알아두세요!
(소상공인공단지역센터에가서 팩스번호를 물어본 후 소상공인센터로 팩스를 받으셔도 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매출액 10% 감소 확인서류를 준비하면 됩니다.
POS(포스)의 2019년 1월 1일부터 신청전날까지의 일자와 2020년 1월 1일부터 신청전날까지의 일자의 매출액을 촬영해두세요.
컴퓨터로 캡처한 이미지파일이나, 핸드폰으로 찍은 사진을 인쇄해 가져가도 됩니다.
ex] 서류를 제출할 날짜가 3월 29일 이라면, 2019년 1월1일 ~ 2019년 3월 28일 매출과 2020년 1월1일 ~ 2020년 3월 28일 매출 을 촬영
(2월까지의 매출을 요청할 수 도 있습니다. 몇 초 걸리지 않으니, 1월~2월 기간으로도 사진을 찍어두세요)
포스기매출을 촬영한 이미지파일(사진)이나, 인쇄한것으로도 가능하지만, 이는 지역이나 센터마다 또 다를 수 있습니다.
포스기의 19년과 20년의 1,2,3월의 총카드매출을 선택해 인쇄(영수증 카드기로 인쇄가능)해도되고, 포스기회사로 연락해 1,2,3월의 카드매출을 보내주라고해서 팩스나 이메일로 받아, 그 자료를 제출하는것을 추천합니다.
(장사를 하시는 분들이라면, 포스기로 월별 카드매출 출력은 매우 쉬울것으로 생각합니다.)
이렇게 서류준비는 끝이 났습니다.
모든 서류를 들고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지역센터로 방문해서 접수 후 상담, 제출하면 됩니다.
그럼 정책자금 지원대상 확인서를 2장 발급받으실겁니다.
1장은 은행용, 1장은 신용보증기금제출용입니다.
아직 모든 과정이 끝난건 아니지만, 가장 막막한 과정은 끝났습니다.
이제 확인서와 신용보증재단(은행)에 제출할 서류도 준비해서, 신용보증재단이나 상담가능한 은행으로 방문하시면 됩니다!
신용보증재단에서 은행으로 업무를 위임한 지역은 소상공인센터에서 바로 은행으로 가셔도 됩니다.
(신용 보증재단을 가기 전 방문할 은행에 꼭 전화해보세요! 신용보증재단업무위탁이 되었는지 확인하세요!. 보증재단을 들렸다 은행을 가는 번거로운일이 생기지않게요! 3월 27일 현재 대부분의 은행에서 바로 상담이 가능하긴합니다.)
¶ 신용보증재단(은행)에 제출할 서류
신용보증재단에 제출 할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외에도 지역보증재단과 은행별로 제출서류가 등본등 추가될 수 있습니다. 보증재단이나 방문할 은행으로 전화문의 꼭 하세요. 꼭이요!
해가 뜨는 시간에 정리를 시작했는데, 해가 지고있네요...
많은분들이 시간을 아낄수 있는 정보였길 바래봅니다!
(노력이 헛되지 않았기를....)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실분들을 위해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공지사항파일을 첨부합니다.
공지사항 및 제외대상업종
*3월 25일부터 시행한 코로나19 경영애로자금(업체당 1천만원) 원스톱 직접대출 신청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지역센터에서 바로 신청가능합니다. 금리는 1.5%이며, 개인신용평가 4~10등급만 신청대상입니다. 주민등록표등본(or 초본), 국세, 지방세 납세증명서, 임대차계약서 사본(임차인경우), (약정서류)통장사본이 추가로 필요합니다. - 문의처 042-363-7210/7230
*모든 자료는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2월7일공지), 중소벤처기업부(3월3일변경공지), 기업마당에서 참조했습니다. 정부정책과 기관의 공지에 따라 행정내용, 절차, 필요서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본문의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
*ⓒLIFEEXO
reference